가설공사 일반사항 KCS 21 10 00 :2022란?KCS 21 10 00:2022는 한국건설생산기술연구원(KICT)에서 제정한 건설 표준시방서로, "가설공사 일반사항"을 다룹니다. 이 시방서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가설 구조물, 장비, 시설 등의 설계, 시공, 관리, 해체에 대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을 명시하며, 안전, 품질, 환경 보호 및 경제성을 고려한 가설공사 수행을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특히 가설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세부적인 기준과 검사 방법을 제시하며, 가설 구조물의 재활용 및 폐기 등 환경 문제에 대한 고려 사항도 포함하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영구 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가시설물의 시공에 관한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표준을 규정한..
지능형 다짐공 KCS 10 70 20 :2021란?KCS 10 70 20:2021은 지능형 다짐공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지능형 다짐공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특히, 이 표준은 지능형 다짐공 시스템의 구성 요소, 성능 요구 사항, 검사 방법, 다짐 데이터 기록 및 분석, 유지관리 등을 다룹니다. 이 표준은 도로, 철도, 공항 등 다양한 건설 현장에서 지능형 다짐공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다짐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흙쌓기 공사의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위해 다짐장비의 위치정보, 다짐횟수, 롤러의 진동과 진폭, 지반강성 등을 실시간 자동 측정하고 전산화하는 지능형 다짐공사에 적용한..
건설자동화 일반 KCS 10 70 05 :2023란?KCS 10 70 05:2023 건설 자동화 일반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과 지침을 다루는 한국산업표준(KS)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표준은 건설 자동화 기술의 개요, 적용 범위, 용어 정의, 설계 및 시공 요구 사항, 안전 및 품질 관리, 운영 및 유지 관리 등을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자동화 시스템의 안전성, 신뢰성, 성능, 유지 보수성, 운영 효율성, 환경 친화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요구 사항과 지침을 제시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건설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건설공사에 대하여 적용한다.(2) 이 기준은 건설공사에서 건설자동화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사..
외장용 노출 콘크리트 KCS 14 20 60 :2022란?KCS 14 20 60:2022 "외장용 노출 콘크리트"는 건설 표준시방서로, 건축물 외벽에 사용되는 노출 콘크리트의 시공 및 품질 관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배합, 타설, 양생, 마감, 표면 처리, 검사 및 시험 등 노출 콘크리트의 설계, 시공, 관리 전반에 걸친 절차와 기준을 명확히 규정하여, 균일하고 고품질의 노출 콘크리트 외벽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 범위(1) 이 기준은 현장 타설 외장용 노출 콘크리트의 재료 및 시공에 대한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내용 없음.1.2.2 관련 기준·KCS 14 20 01 콘크리트공사 일반..
공무행정요건 KCS 10 10 10 :2021란?KCS 10 10 10:2021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공공 행정 요구 사항을 다루는 한국건설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건축물의 계획, 설계, 시공 및 유지 관리 단계에서 필요한 행정적 절차, 법규 준수, 허가 및 인증, 문서 관리, 기록 보관, 정보 공유 등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효율적이고 투명한 공공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자료제출 또는 승인을 얻기 위하여 수급인이 발주자(또는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할 제출물의 작성과 발송에 대한 일반요건과 절차 등에 대하여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법규건설기술 진흥법공사계약일반조건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국토해양부)1.2.2 관련기준KCS..
공사일반 KCS 10 10 05 :2018 건설 표준시방서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법령 및 규정의 준수, 수급인의 기본 의무, 현장 확인 및 설계도서 검토, 책임한계, 착수 전 합동조사, 시공 전 협의, 공사수행, 야간공사, 동절기 공사, 하도급 관리, 공사협의 및 조정 등에 대해서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법규건설기술진흥법령건설산업기본법령공사계약일반조건야간 건설공사 안전보건작업 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1.2.2 관련기준내용 없음.1.3 용어의 정의·발주자: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제10호의 발주자를 말한다.·공사감독자: 공사계약일반조건 제2조제3호의 공사감독관을 말한다.·수급인: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2조제2호의 계약상대자를 말한다.·하수급인: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제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