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공기조화설비일반사항 KDS 31 25 05 :2021란?KDS 31 25 05:2021은 건축물의 냉난방 및 환기 설비에 대한 설계 및 시공 기준을 제시하는 한국건설기준규격(KDS)입니다. 이 규격서는 공기조화설비의 일반적인 사항들을 다루며, 설계 단계에서의 성능 요구사항, 설비의 종류 및 선정, 시스템 구성, 부품 및 재료의 선정, 시공 방법, 시험 및 검사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건물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설계 및 시공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공기조화설비 설계 및 시공에 참여하는 모든 관계자들에게 필수적인 참고자료입니다. 공기조화설비일반사항 자료 확인하기https://enc.ksocket.com 시방서..
배수관 SMCS 11 40 15 :2018란?"배수관 SMCS 11 40 15 :2018"는 서울시 건설 전문시방서에서 규정하는 배수관의 종류와 규격을 나타냅니다. SMCS는 서울시 건설 시방서를 의미합니다. 배수관에 대한 설계, 시공, 검사 등의 기준을 담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국가건설기준센터(KCSC) https://enc.ksocket.com 시방서모음 - 건설기준정보 모음 enc.ksocket.com 배수관 시방서 자료 확인하기 함께보면 좋은글 도로공사 배수관 KCS 44 40 10 :2023 건설 표준시방서배수관 KCS 44 40 10 :2023란?KCS 44 40 10 :2023은 한국건설생산기술연구원에서 발행한 "건설표준시방서" 중 "배수관"을 다루는 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배수관의 ..
조경전기설비공사 KCS 32 45 60 :2024란?KCS 32 45 60 : 2024 조경전기설비공사 표준시방서는 공원, 정원 등 조경 공간에 설치되는 전기 설비의 시공에 관한 표준적인 시공 방법, 자재, 품질, 안전 관리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조명설비, 수경시설용 전기설비, 경관조명설비 등 조경 공간의 전기 설비 전반에 걸쳐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공을 위한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규정하여 시공 품질 확보 및 유지관리 효율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전기설비 관련 설계기준 및 시방서 확인하기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조경시설 및 부대설비의 전기공사에 적용한다.(2) 건설공사의 이와 유사한 설비에도 이를 적용한다.1.2 참고 기준1.2.1 관련 법규·건축법·건축..
방범설비공사 KCS 32 40 40 :2024란?KCS 32 40 40 : 2024 "방범설비공사" 표준시방서는 건축물 및 시설물에 설치되는 방범 시스템의 설계, 자재, 시공, 검사, 시험 및 유지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적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표준시방서는 침입감지설비, 영상감시설비, 출입통제설비, 주차관리설비 등 다양한 방범설비의 종류별 세부 시공 기준을 제시하여 방범 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성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 방범설비공사 자료 확인하기 국가건설기준센터(KCSC) www.kcsc.re.kr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전기설비 공사 중 방범설비공사 대하여 적용한다.(2) 건설공사의 이와 유사한 설비에도 이를 적용한다.(3) 방범설비의 영상정보처리기기(CCTV 등)는..
도로 및 터널조명 설비공사 KCS 32 30 30 :2024란?KCS 32 30 30 :2024는 도로 및 터널 조명 설비공사에 대한 한국건설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도로 및 터널 조명 설비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관리에 대한 상세한 기준과 지침을 제공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조명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필수적인 표준입니다. 여기에는 조명 기구의 종류, 설치 방법, 조도 기준, 제어 시스템, 안전성 및 성능 기준 등이 포함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전기설비 공사 중 도로 및 터널조명설비공사에 적용한다.(2) 건설공사의 이와 유사한 설비에도 이를 적용한다.1.2 참고기준1.2.1 관련 법규·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건..
간선 및 배선설비공사 KCS 32 25 10 :2024란?KCS 32 25 10 :2024는 한국건설생산기술 연구원에서 제정한 건설 표준시방서로, "간선 및 배선설비공사"에 대한 상세한 시공 지침을 담고 있습니다. 이 시방서는 전력, 통신, 방송 등의 간선 및 배선설비 설치 시 적용되는 재료, 시공 방법, 검사 기준 등을 명확히 규정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공을 위한 표준을 제시합니다. 건축 환경 구축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전기설비 공사 중 간선설비공사 및 배선설비공사에 적용한다.(2) 건설공사의 이와 유사한 설비에도 이를 적용한다.1.2 참고기준1.2.1 관련 법규·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건축..
옥외전기공사 KCS 32 20 05 :2024란?KCS 32 20 05 :2024는 한국전기공사협회에서 제정한 '옥외전기공사'에 대한 건설 표준시방서입니다. 이 시방서는 옥외에 설치되는 전기설비의 시공 및 검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며,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인 요구사항, 시공 방법, 검사 기준 등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옥외 전기설비는 자연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 방수, 방진 등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며, KCS 32 20 05 :2024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전기설비공사 중 가공전선로공사, 지중전선로공사, 가설공사, 토공사에 대해 적용한다.(2) 건설공사의 ..
옥내조명설비공사 KCS 32 30 10 :2024란?KCS 32 30 10 :2024는 건설 표준시방서로서, 옥내조명설비공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시방서는 조명 설비의 설계, 시공, 검사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모든 단계를 다루며, 안전성, 신뢰성, 효율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요구사항과 기준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즉, 건축물 내부 조명 설비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옥내조명설비공사 한글파일 1. 일반사항1.1 적용범위(1) 이 기준은 전기설비 공사 중 옥내조명설비공사에 적용한다,(2) 건설공사의 이와 유사한 설비에도 이를 적용한다.1.2 참고기준1.2.1 관련법규·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배수통기설비공사 KCS 31 30 25 :2021란?KCS 31 30 25 :2021 "배수통기 설비공사"는 건축물의 배수 시스템 내 압력 변화를 방지하고 하수도 배관 내 악취 및 가스 역류를 막기 위한 배수통기 설비의 시공 및 설치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하는 건설 표준 시방서입니다. 이 표준은 배수통기 설비의 종류, 설치 위치, 재료, 시공 방법, 검사 기준 등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배수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필수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이 기준은 아래와 같은 오배수 설비공사와 통기관 배관공사에 적용한다.(1) 배수용 펌프 설치(2) 철근 콘크리트제 배수탱크(3) 청소구(4) 배수 맨홀의 축조 및 설치(5) 포집기 설치(6) 통기구 설치(7) 배수트랩 설..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KCS 31 80 15 :2024란?KCS 31 80 15 :2024는 건설 표준 시방서로, 소화전 설비 공사에 대한 표준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소화전 시스템의 설계, 시공, 검사, 유지보수 등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소화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상세한 요구 사항과 절차를 명시하고 있습니다.1. 일반사항1.1 적용범위이 기준은 스프링클러 설비공사에 적용한다.1.2 참고기준KCS 31 80 05(1.2)에 따른다.1.3 용어의 정의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을 참조한다.2. 자재2.1 헤드2.1.1 스프링클러 헤드(1) 폐쇄형헤드는 본체, 프레임, 디플렉터 및 감열기구 등으로 구성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설치장소의 상황에 따라 적합..
분기기 부설공사 KRACS 47 20 25 :2018란?KRACS 47 20 25 :2018은 한국철도시설공단(KR)에서 발행한 철도건설공사 시방서로, 분기기 부설공사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시방서는 분기기 부설에 필요한 재료, 설계, 시공, 검사 및 시험 등의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분기기 설치를 위한 구체적인 기준과 방법을 제시합니다. 또한, 관련 법규 및 규정 준수, 안전 관리, 환경 보호 등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철도건설 현장에서 분기기 부설 공사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지침서 역할을 합니다.1. 고속철도 자갈궤도 분기기 부설KCS 47 20 25 분기기 부설공사 (1.)을 따른다.2. 일반철도 자갈궤도 분기기 부설KCS 47 20 25 분기기 부설공사 (..